유럽에서 주유하는 방법

여긴 인건비가 비싸서 대부분 셀프주유소다.

우리나라처럼 직접 카드 긁고 넣는게아니라...그냥 차세워서 차량에 맞는 주유기로 주유를

다하고 사무실로 들어가 주유한 주유기 번호를 알려주고 카드나 현금주면 된다.


 


처음 렌트해서 여행을 하려는 사람들은 주유때문에 고민하기도 하는데...전혀 그럴필요없다.

가끔 외진곳에 우리나라처럼 하는경우가 있는데...이용하는 방법을 몰라 고민하는경우도

있다고한다.

미리미리 만땅채워가면 이상없겠지^^


유럽주유, 오스트리아 주유, 독일 주유, 슬로베니아 주유, 체코 주유, 스위스 주유




유럽의 고속도로 통행료.  프랑스 이탈리아등은 우리나라처럼 톨게이트에서 요금지불하고

독일은 고속도로 무료. 이번에 다녀온 나라중 스위스, 오스트리아, 슬로베니아, 체코는 이용날짜에따라 고속도로 통행료를 부과한다.


이번 20일간의 여행을 함께한 친구 ... 이번엔 볼보다.


스위스 비넷. 스위스 고속도로 티켓 통행료이다. 스위스는 1년짜리만 판매한다. 17...즉 2017년.

구매한시점부터 1년이 아니라 그냥 2017년만 사용한다.

입국하기전 가까운 고속도로휴게소에서 구매한다. 무려 42유로...몇일 사용안함.ㅠ



슬로베니아 고속도로 티켓 통행료 비넷. 최소단위 15유로. 구입한날로부터 펀칭을 해준다.

입국하기전 가까운 고속도로 휴게소에서 구매한다.



오스트리아 고속도로 티켓 통행료 비넷. 얘들도 최소단위 9.9유로. 구입한날로부터 펀칭을 해준다.

입국하기전 가까운 고속도로 휴게소에서 구매한다


체코 고속도로 티켓 통행료 비넷. 비니에따. 얘들도 구입한날로부터 펀칭을 해준다.

입국하기전 가까운 고속도로 휴게소에서 구매한다



차량에 붙여서이용. 하루를 가더라도 구매하시고 붙이세요. 걸리면 벌금 많아요...

아니면 국도로만 다니세요.


스위스 고속도로통행료, 슬로베니아 고속도로통행료, 오스트리아 고속도로통행료, 체코 고속도로 통행료, 프랑스 고속도로통행료




 프랑크푸르트 비지니스스타디움 기내식 메뉴


프랑크푸르트 아시아나항공 비지니스 스타디움 기내식 메뉴



먹으랴 보랴 조작하랴 바빠요 이쁜수림이




소금도 뿌려야하고...


디저트


아무리바빠도 비지니스 신라면은 빠질수 없지


프랑크푸르트에서 인천으로 돌아오는 메뉴


난 양고기 체질은 아냐... 양꼬치는 좋아요~


후식

인천에서 독일 프랑크푸르트로 아시아나항공 A380 비지니스 스타디움

2층비행기에 우리 3가족은 2층에 나란히 앉았다.







110V 로 돼지코 아답타가 필요하다.(일본처럼~)




웰컴드링크가 왔음에도

이쁜수림이와 마누라는 아이패드와 핸드폰을 열심히 보고있다.


시청각교육중인 이쁜수림이


이제 누워서 아이패드로...


파우치와 헤드셋. 그러나 이쁜수림이는 아이패드를..


아시아나항공 A380 비지니스 스타디움 기내화장실



평소 여성호르몬 먹던 女, 비행기에 앉아 있다가 돌연… '피떡'이 노린다

 

 

이코노미클래스 증후군 늘어
비행기 등에 장시간 앉으면… 다리 정맥에 생성된 혈전 심장으로 이동해 돌연사 원인
1시간 간격으로 스트레칭… 자주 움직이고 물 많이 마셔야
조선일보|김철중 의학전문기자|입력2013.03.16 03:10|수정2013.03.16 13:18

 

장시간 비행기를 탄 여행객이나, 의자에 앉아서 일하는 시간이 많은 사람 가운데 혈전증(血栓症)으로 변(變)을 당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혈전증은 통상 다리 정맥(靜脈)에 생긴 젤리 같은 피딱지(혈전)가 정맥을 타고 심장으로 올라와 폐로 이동하면서
폐동맥을 막아 생기는 응급질환이다. 비행기 좌석 등 좁은 공간에서 장시간 앉아 있다가 생긴다고 하여 '이코노미클래스 증후군'으로도 불린다. 하지만 혈전증은 이코노미 클래스뿐만 아니라 시간과 장소를 막론하고 오랫동안 별 움직임 없이 앉아 있으면 생길 수 있다. 근래 우리나라에서는 게임중독에 빠진 사람이 PC방에서 온종일 앉아 있다가 혈전증으로 돌연사하는 경우가 종종 생긴다.

↑ [조선일보]

앉아 있으면 엉덩이 관절이 접힌다. 그러면 허벅지에서 배 안쪽으로 들어가는 골반 정맥도 접힌다. 정맥은 손으로 살짝만 눌러도 찌그러지는 물렁물렁한 조직이다. 골반 정맥이 닫히니 그 아래 다리 정맥에 있는 피는 심장 쪽으로 가지 못하고 정체된다. 도로를 차단하면 자동차들이 줄줄이 밀려 정체되는 것과 같다. 고정자세로 오래 앉아 있으면 다리가 붓거나 저린 것도 이런 이유다. 정맥에는 탄력 근육이 없어 담은 피를 자체적으로 심장을 향해 짜주지 못한다.

피가 고이면, 고인 물이 썩는 것처럼 혈액은 굳기 시작한다. 혈액을 굳게 하는 혈소판이 서로 달라붙고, 여기에 혈액을 응고시키는 인자(因子)의 분비도 많아진다. 피를 뽑아 시험관에 담아 그대로 놓아두면, 2~3분 후에는 혈액이 액체에서 고체로 변하기 시작한다. 노인의 경우 피가 더 빨리 굳는 경향이 있다. 장시간 별 움직임 없이 자세 변화를 주지 않고 앉아 있을수록 다리 정맥에 혈전이 생길 가능성이 커진다. 비행기 안에서는 안전벨트를 오래 착용해야 하고, 기압과 산소 농도가 지상의 80% 수준이기 때문에 피의 흐름이 더 둔해져 혈전이 생기기 쉽다.

이 상태에서 일어나 움직이기 시작하면, 접혔던 골반 정맥이 열리면서 젤리 같은 혈전은 심장으로 이동한다. 정맥 주변을 둘러싼 다리 근육의 움직임이 혈전을 심장 쪽으로 이동시키는 펌프질 역할을 한다.

고려대병원 심장내과 임도선 교수는 "혈전증은 특히 60세 이상의 고령자나 임산부, 흡연자나 동맥경화, 비만 등이 있는 경우, 여성호르몬을 복용하는 경우에는 위험이 커진다"며 "암 치료나 전신마취 수술을 받고 오래 누워 있는 경우도 위험할 수 있다"고 말했다.

혈전증 예방을 하려면 앉아 있더라도 최소 1시간 간격으로 일어나 스트레칭을 해야 한다. 앉은 자세에서도 다리를 자주 움직이고 자세 변화를 줘야 한다. 혈액을 묽게 하기 위해 물도 충분히 마셔야 한다. 몸을 옥죄는 자세로 잠들지 않는 것이 좋다. 고위험 그룹은 다리 정맥을 조여주는 의료용
압박 스타킹을 착용하는 것도 혈전증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해외여행^^ > 해외여행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행을 즐기는 7가지  (0) 2013.02.28
나라별 전압 및 사용 플러그  (0) 2011.12.25
배낭길잡이/ 여행을 즐기는 7가지

우리가 여행을 떠나면서

커다란 명제를 달고 떠나기도 하지만

작은거 하나 즐기므로 의미를 두기도 합니다.

현지에서 산 작은소품하나

그림한장이 두고 두고 추억과 마음의 여유를 주기도 한답니다.

즐겨보시죠... 여행의 7가지....

 

 

1. 쇼핑을 하세요.

기념품도 좋고 토산품이나 특산품도 좋습니다.

물론 집으로 돌아갈 때 짐이 많아지지 않도록 해야겠죠?

리가 아니라면 가끔은 기분좋게 사기를 당해주어도 좋을 듯 합니다.

중요한 것은 계획적인 소비입니다. 계획적인 소비는 즐거운 여행의 필수조건이랍니다.

타지에서 돈이 부족해졌을 때의 공포는 여행을 즐길 수 없게 만듭니다.

 

 

 

 

2. 맛난 음식을 먹으세요.

금강산도 식후경입니다.

그 곳의 별미를 먹는 것은 가히 여행의 꽃이라고 할 수 있죠.

여행을 할 때는 하루에 네 끼를 먹어도 살이 안찐답니다~

 

 

 

 

3. 산책을 하세요.

낯선 곳과 친해지는 가장 좋은 방법은 그 곳의 사소한 것들과 친해지는 것입니다.

천천히 산책하시면서 작은 것 하나하나를 즐겨보세요.

(많이 걸을수록 많이 드실 수 있습니다!)

 

 

 

 

4. 명상을 하세요.

여행은 쉼표입니다.

평상시에 하지 밀린 생각들 다 털어놓고 가세요.

마음은 가볍게, 입은 무겁게.

상상의 자유롭고 예쁘게 하세요

 

 

 

 

5. 대화를 하세요.

여행이 아니라면 언제 마음놓고 하루종일 시간내서 떠들 수 있을까요.

실컷 떠드세요.

현지인들과도 떠들고 혼자 떠들고 친구들과 떠드세요.

현지 친구를 만드는 것은 실로 좋은 경험이 될 것입니다.

 

 

 

 

6. 잠을 푹 자세요.

여행까지 가서 고생하는 것은 너무 가혹합니다.

타지에서는 이상하게 잠이 잘 오더군요.

특히 낮잠을 자는 것은 아주 좋답니다.

많이 먹고, 많이 걸으면 푹 잘 수 있답니다.

게으름뱅이가 되어봅시다.

 

 

 

7. 공정여행을 하세요.

진정한 여행을 한마디로 하자면 공정여행이 아닐까 싶네요. 공정여행에 관한 것을 다음에

좀더 자세히 올리겠습니다.

 

 

 

 

정말이지 여행을 떠난다는 것은 상상만으로도 기분이 좋아집니다.

 

발칸의 보석 <두브로브니크>

돌아오라 쏘렌토의 <쏘렌토>

죽기전에 드라이빙 해야할 1위 <아말피 해안도로>

신비롭고 아름다운 <카프리 섬>

전자 제품을 참으로 많이 사용합니다.

어디를 가시든 좋은제품 잘 사용해야하지요.^^

참고하시고 불펀함이 없는 편안한 여행 되세요.^^

저도 퍼온 자료라...참고하시고..다시한번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국내의 가전제품을 외국에서 사용하려면 해당국가의 전압과 Hz, 플러그 모양을 확인해야 합니다.

 

*전압 및 Hz가 맞더라도 각각의 나라마다 사용하는 전기 플러그 모양이 다르기 때문에 플러그

  모양을 바꾸어 주는 변환플러그(일명, 돼지코)가 필요하게 됩니다.

 

 

◆ 여행할 국가가 우리나라와 전압 및 Hz가 다를 경우

 

  1. 여행시 가져갈 전자제품의 사용전원을 확인합니다.

  2. 전자제품의 전원이 110V~240V 까지 사용 가능하다면 여행할 국가에 맞는 변환플러그 챙기면 됩니다.

  3. 전자제품의 전원이 220V만 표기되어 있다면 여행할 국가에 맞는 변압기(트랜스)와 필요에 따라

      변환플러그를 챙기면 됩니다.

 

    예를들어, 여행할 국가가 미국이라면 미국의 전원은 120V 이므로 전자제품의 220V  → 120V로

    변환해 주는 플러그나 전압을 120V  → 220V(승압) 으로 변환해 주는 변압기가 필요합니다.

    유럽의 대부분 나라에서는 230V를 사용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220V 제품을 변압기 없이

    사용해도 큰 무리가 없습니다.

    또한,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전력 주파수(Hz) 50~60Hz를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50~60Hz대 주파수에서는

    별도의 변압기가 필요없지만, 간혹 60Hz대 제품이 50Hz대에서 잘 작동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국가명

전력주파수

전압

플러그 모양

네팔

      50Hz

        230V

    

대만

      60Hz

        110V

    

레바논

      50Hz

        230V

    

리비아

      50Hz

        127V

    

마카오

      50Hz

        220V

    

말레이시아

      50Hz

        240V

    

몰디브

      50Hz

        230V

    

미얀마

      50Hz

        230V

    

방글라데시

      50Hz

        230V

    

베트남

      50Hz

     127/220V

    

브루나이

      50Hz

        240V

    

사우디 아라비아

      60Hz

     127/220V

    

스리랑카

      50Hz

        230V

    

싱가폴

      50Hz

        230V

    

이란

      50Hz

        220V

    

이스라엘

      50Hz

        230V

    

요르단

      50Hz

        220V

    

인도

      50Hz

        230V

    

인도네시아

      50Hz

     127/230V

    

일본

    50/60Hz

        100V

    

중국

      50Hz

     110/220V

    

캄보디아

      50Hz

        230V

    

카타르

      50Hz

        240V

    

쿠웨이트

      50Hz

        240V

    

태국

      50Hz

        220V

    

터키

      50Hz

        230V

    

파키스탄

      50Hz

        230V

    

필리핀

      60Hz

        220V

    

홍콩

      50Hz

        200V

    


 

  


국가명

전력주파수

전압

플러그 모양

그리스

      50Hz

        220V

    

네덜란드

      50Hz

        220V

    

노르웨이

      50Hz

    220/230V

    

덴마크

      50Hz

        220V

    

독일

      50Hz

        230V

    

러시아

      50Hz

        220V

    

루마니아

      50Hz

        230V

    

룩셈브루크

      50Hz

        220V

    

벨기에

      50Hz

     127/220V

    

스웨덴

      50Hz

        220V

    

스위스

      50Hz

        230V

    

스페인

      60Hz

        230V

    

아이슬란드

      50Hz

        220V

    

영국

      50Hz

        240V

    

이탈리아

      50Hz

     127/220V

    

오스트리아

      50Hz

        220V

    

우크라이나

      50Hz

        220V

    

우즈베키스탄

      50Hz

        220V

    

체코

      50Hz

        230V

    

카자흐스탄

      50Hz

        220V

    

프랑스

      50Hz

     127/220V

    

핀란드

      50Hz

        230V

    

포르투갈

      50Hz

        220V

    

폴란드

      50Hz

        220V

    

헝가리

      50Hz

        230V

    

 

  


국가명

전력주파수

전압

플러그 모양

니카라과

      60Hz

        120V

    

미국

      60Hz

        120V

    

멕시코

      60Hz

        127V

    

베네수엘라

      60Hz

        120V

    

볼리비아

      50Hz

   115/220/230V

    

브라질

      60Hz

     127/220V

    

아르헨티나

      50Hz

        220V

    

우루과이

      50Hz

        220V

    

자메이카

      50Hz

        110V

    

칠레

      50Hz

        220V

    

캐나다

      60Hz

        120V

    

쿠바

      60Hz

     110/220V

    

콜롬비아

      60Hz

        110V

    

파나마

      60Hz

     110/120V

    

파라과이

      50Hz

        220V

    

페루

      60Hz

        220V

    

 

 

  


국가명

전력주파수

전압

플러그 모양

      60Hz

        110V

    

뉴질랜드

      50Hz

        230V

    

타히티

      50Hz

     110/220V

    

파푸아 뉴기니

      50Hz

        240V

    

피지

      50Hz

        240V

    

호주

      50Hz

        240V

    

 

 

  


국가명

전력주파수

전압

플러그 모양

가봉

      50Hz

        220V

    

나이지리아

      50Hz

        240V

    

남아공

      50Hz

     220/230V

    

모로코

      50Hz

     127/220V

    

세네갈

      50Hz

        230V

    

이집트

      50Hz

        220V

    

이디오피아

      50Hz

        220V

    

잠비아

      50Hz

        230V

    

카메룬

      50Hz

        220V

    

케냐

      50Hz

        240V

    

튀니지

      50Hz

        230V

    

 

*위의 [국가별 전압 및 플러그 모양]은 해당국가의 일반적인 주거/상업지역에서 사용되고 있는 전압을 뜻합니다.  

*한 국가 내에서도 지역이나 도시에 따라 전압이나 사용 플러그 모양이 다를수도 있으니 본인이 여행할 국가 뿐만  

  아니라 도시까지 염두에 두고 전압과 플러그를 확인해야 합니다. 

 

  국가사정에 따라 표준전압을 변경하거나 플러그 모양을 바꾸는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실제내용이 조사시점에 따라 위의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일본 전원, 독일전원, 영국전원, 프랑스전원, 필리핀전원, 태국전원, 미국전원, 호주전원, 괌전원, 체코전원, 이탈리아전원, 오스트리아전원, 스위스전원, 그리스전원, 네덜란드전원, 러시아전원



'해외여행^^ > 해외여행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코노미클래스 증후군 조심조심  (0) 2013.03.16
여행을 즐기는 7가지  (0) 2013.02.28

 

독일에서 프라하로 가는길에 프라하국경근처 독일 휴게소에서 구매.

체코용 비니에따.

 

유럽고속도로 통행료.(비니에따). 독일고속도로는 속도 무제한. 통행료 무료.

프랑스는 우리나라처럼 이용한 구간만큼 톨게이트에서 지불.

스위스와 체코, 오스트리아는 비니에따를 구입하는데...국경을 넘기전 휴게소에 가면 판매한다.

스위스는 하루를 이용해도 일년치를 구매해야하고

체코 오스트리아는 최하 열흘 한달 1년 이렇게 구매한다.

고속도로를 이용하지 않는다면  구매하지 않아도 되지만 비니에따없이 고속도로 이용하다가 적발시

많은 벌금을 부과한다. 

 

 

오스트리아용 비니에따. 창에 붙인다. 

 

체코용 비니에따. 

비니에따는 구입할때 날짜만큼 펀치로 구멍을 낸다. 뒷면에 차량번호를 기입한다.

 

독일은 속도 무제한. 단, 제한속도가 있는곳은 표시가 있다.

길이 워낙좋아서 2차선도로에서도 보통 2차선에서 140~160 정도로 달린다.

하지만 반드시 주행선인 2차선을 이용해 달리고...추월시에만 1차선을 이용한다.

그렇지 않은차도 보이지만...

체코 오스트리아등은 제한속도 130k 이다.

 

모든도로가 그런건 아니지만 중앙선이 흰선이다. 그리고 추월가능한곳은 점선이다.

잘 모르고 가면 일방통행으로 착각할수도있다. 

 

 물론 실선도 있다.

 

 

유럽에는 로터리가 많다. 반드시 왼쪽에서 오는차가 우선이다.

진입하는 차량은 반드시 멈춰서서 왼쪽을 보고 진입한다.

 

 

정말 정확하다. 우리나라에서는 7인치가 대세라...작은사이즈는 처음에 약간 어색할듯해도...

알려줄것 다 알려주고...이거하나만 있으면...유럽 어디라도 돌아다니는데는 문제가 없다.

한국에 돌아와서도 tomtom 네비 사용하고싶다.

+ Recent posts